유클린 뉴스

17회사람 중심의 지능정보기술(Tech For People)
목록

코로나로 판 커진 AI·로봇 케어…"돌봄윤리 논의도 함께"

[u클린 2021] ④비대면 노인돌봄 확대

오상헌 기자  |  2021.05.30 16:05
[u클린 2021] ④비대면 노인돌봄 확대
[편집자주] AI(인공지능)는 인간의 따뜻한 친구가 될 수 있을까. 인류의 삶을 풍족하게 만들기 위해 고안된 AI는 최근 알고리즘의 편향성과 부작용 등 각종 논란에 휩싸여있다. AI뿐만 아니다.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IoT), 로봇, 생명과학 등 4차산업혁명 기술은 앞으로 어떻게 활용되느냐에 따라 양날의 칼이 될 수 있다. 올해 U클린 캠페인은 '사람 중심의 지능정보기술'(Tech For People)을 주제로 새로운 기술이 필연적으로 수반하는 윤리적 문제와 해법을 제시한다.
image
'AI 컴퍼니'(인공지능 기업) 전환에 나선 국내 ICT(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이 들머리에 세운 가치는 단연 '사람 중심 AI'다. AI 챗봇 '이루다'의 혐오·차별 논란이 촉발한 AI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윤리원칙을 마련해 속속 발표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최근 '사람 중심의 AI'를 핵심 이념으로 하는 7대 AI 추구 가치를 발표하고 사규에 적용했다. 사회적 가치와 무해성, 기술 안정성, 공정성, 투명성, 사생활 보호, 지속 혁신 등을SK텔레콤이 추구해야 할 7대 가치로 제시했다.

김윤 SK텔레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AI 추구 가치 정립은 AI 회사 변화의 첫걸음"이라며 "AI에는 불완전성이 함께하는 만큼 사람 중심의 AI 서비스가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KT도 최근 'AI 원팀'의 일원인 카이스트와 'AI·SW(소프트웨어) 기술연구소' 공동 설립 계획을 발표하면서 원천 기술 분야에서 휴머니스틱 AI(인간 중심 AI) 등 15개 미래지향적 연구과제를 선정했다.

네이버도 지난 3월 서울대학교와 함께 마련한 '인공지능(AI) 윤리 준칙'으로 △사람을 위한 AI 개발 △다양성의 존중 △합리적인 설명과 편리성의 조화 △안전을 고려한 서비스 설계 △프라이버시 보호와 정보 보안 등 5가지 가치를 제시했다. AI가 혁명적 수준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기술이지만 불완전한 만큼 개발과 이용 과정에서 인간 중심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삼겠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월13일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신뢰할 수 있는 AI 실현전략'을 발표하기도 했다. 지난해 12월 발표한 'AI 윤리기준'의 실천방안을 사람 중심으로 구체화한 것이다.

사람 중심 AI가 부쩍 강조되고 노년층에 특히 피해를 준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대표적인 분야가 바로 '언택트 시니어 케어'(비대면 노인 돌봄)다. SK텔레콤은 AI 서비스를 활용한 독거노인 돌봄 서비스와 내 주변의 코로나 안전도를 확인하는 '세이프캐스터(SafeCaster)' 등 사람을 위한 사회적 가치 제고에 AI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KT와 카이스트는 'AI 원팀'에서 '딥러닝 음성합성' 기술 등 노년층과 장애인 등 취약계층 돌봄기술을 공동 개발한 전례가 있다. 네이버 역시 사람 중심 AI 가치 실현의 맥락에서 지난 4월부터 부산의 홀몸노인 고독사 예방에 AI를 활용하고 있다. 해외 ICT 기업과 스타트업들도 AI와 IoT,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고령층의 일상생활과 활동 데이터를 수집, 분석한 후 위험 발생 이전에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방적 케어 서비스 개발에 앞다퉈 뛰어들고 있다. 서비스 로봇 시장 확대로 돌봄·반려로봇이 노년층의 일상에 도움을 주는 사례도 늘고 있다.

AI 등 ICT 기반의 비대면 노인 돌봄 확대 과정에선 기술의 선한 영향력 못지 않게 윤리적 부작용의 가능성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AI와 로봇 돌봄이 노년층의 사회적 고립감을 줄이고 인간의 상호 작용을 줄여 돌봄의 본질적 가치를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노년층의 의학적 개인정보가 오용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김정근 경남대 실버산업학과 교수는 지난 3월호 국제사회보장리뷰에서 "코로나19로 비대면 노인돌봄 서비스 확대는 필수불가결하다"면서도 "돌봄 과정에서 윤리적 부분과 AI와 로봇의 돌봄 기능을 어디까지 위임할 것인가에 대한 사회적 논의도 동시에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